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말정산, 인적공제 의료비공제(12가지 절세 포인트!)

by 싱송! 2024. 12. 27.
반응형

 

연말정산 시즌입니다.

다양한 세제 혜택을 활용해서 13월의 월급을 챙기시기 바랍니다.

 

 

 

1. ‘편리한 연말정산’ 서비스로 인적공제를 받으세요.

 

국세청의 ‘편리한 연말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면

최적의 공제 조합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정의 세금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요.

 

 

홈택스에서 편리한 연말정산 서비스를 받아보세요.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2. 결혼 세액 공제

 

2024년 중 혼인신고를 한 신혼부부는 5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신혼부부의 초기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으로,

결혼을 앞둔 이들에게 유용한 혜택이 될 것입니다.

 

3. 자녀세액공제

 

8세에서 20세 이하의 자녀가 두 명 이상인 가구는

기존보다 5만 원 증가된 금액으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다자녀 가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4. 출산지원금 비과세

 

자녀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에 지급되는 출산지원금은

최대 두 번까지 전액 비과세로 처리됩니다.

 

5. 의료비 공제

 

6세 이하 아동의 의료비는 전액 공제됩니다.

또한 총급여가 7천만 원을 초과하는 근로자도 산후조리원 비용을 200만 원 한도 내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6. 주택청약 납입액 공제 한도 상향

 

주택청약저축 공제대상의 납입액 한도가 기존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납입액을 추가해서 세액 공제를 받아보세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보시고, 내집마련과 절세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청년주택드림청약 | 국토교통부

가입 대상자 (나이) 19세 ~ 34세 (소득) 직전년도 신고소득이 있는 자로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의 근로·사업·기타소득자 *(현역장병 및 전역자의 경우) ➀위 요건에 해당하거나, ➁병적증명서(현역

www.molit.go.kr

 

 

7. 기부금 공제율 상향

 

2024년에 기부한 금액에 대해  3천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공제율이 기존보다 높아진 40%로 적용됩니다.

기부도 하고 세금도 아끼니, 일석이조겠죠?



8. 신용카드 소비 증가분 소득공제

 

2024년 한 해 동안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액이

전년 사용액보다 5% 이상 증가한 경우, 늘어난 소비 금액의 1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공제 한도는 100만 원입니다.

 

 

 

9. 월세는 현금영수증으로 소득공제를 받으세요!

 

임차계약서와 월세 지출내역을 첨부하여 홈택스에서 현금영수증을 신청해 발급받으면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월세 부담이 큰 경우 유용한 절세 방법입니다.

 

10.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은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어요!

 

만약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층이 결혼, 임신, 출산, 육아로 인해 퇴직한 후

2~15년 내에 같은 업종에 재취업했다면, 소득세 감면 혜택을 다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청년층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책입니다.

 

 

11. 연금계좌, 주택청약저축 등 추가 납입으로 환급금을 늘리세요!

 

12월 31일까지 여유 자금을 연금계좌, 주택청약저축, 

청년형 장기집합투자 증권저축 등에  추가 납입하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혜택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까지 추가 납입을 활용해 환급금을 늘려보세요.

 

 

연금계좌 세액공제에 대해 궁금하다면 국세상담센터에서 확인해 보세요!

 

 

국세상담센터

국세상담센터

call.nts.go.kr

 

12. 고향사랑기부금 공제와 지역 특산품 혜택을 받으세요!

 

주민등록지 외 지방자치단체에 고향사랑기부금을 납부하면,

10만 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11 ~500만 원 구간에서는 15% 공제율이 적용됩니다.

기부 금액의 30%에 해당하는 지역 특산품 혜택도 받을 수 있으니 잊지 마세요.

 

 

 

나에게 맞는 절세 포인트를 활용해서

13월의 월급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반응형